지난 주에 포고플러그모바일에 1TB 갖고 있던 외장하드를 붙여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했다. 결론은 긍정/부정 반반이다. 애초 목적은 갖고 있는 모든 기기(집데탑, 회사노트북, 아이폰, 아이패드)들의 데이터를 한곳에 쌓고 이를 다시 각 기기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이런 형태는 기존에 사용하던 dropbox, iCloud, sugersync, Ndrive Ucloud에서 모두 가능한 구조이기는 하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점은 용량이다. 100G 이상을 사용하려고 한다면 지원이 안되기도 하고 꽤 많은 금전적인 지출이 필요하다. 더불어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아이폰, 아이패드의 모바일 기기에서의 플레이도 지원이 안되거나 제약사항이 많다. 그런데 포고플러그는 이 모든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갖고 있는 외장하드를 저장매체로 쓸 수 있기 때문에 1TB 용량이 확보되었고 아이패드, 아이폰에서 App으로 파일 조회, 멀티미디어 파일 스트리밍이 지원된다. 더구나 사업자의 서버가 아닌 나의 저장매체에 데이터가 쌓인다는 점으로 인한 심리적인 안정감. 그런데 현재로서는 너무 속도가 느리다. 특히 모바일 기기에서 사진이나 동영상등의 로딩 속도가 생각보다 실망스러웠다. 속도 측면에서는 기존 Ndrive Ucloud가 훨씬 쾌적한 것이 사실이다. 네비게이션 자체의 로딩 속도가 지연이 되는 정도라 좀 후회했지만 기존 파일 무선으로 백업만 되도 어디인가? 애플 타임머신은 몇십만원인데... 하면서 위안을 삼았다.


그런데 좀 더 살펴보니 파일 구조나 동영상을 일단 저장매체로 넣은 후 포고플러그에서 이미지 파일의 썸네일도 형성하고 동영상 최적화도 나중에 시키는 것 같다. 그러니까 현재까지는 파일을 다 저장하고 한창 구조파악 및 최적화 작업 중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속도 저하 및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시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다. 더구나 생각지도 않았던 PS3 미디어 서버 지원도 가능했다.(이 부분은 정말 개인적으로는 쾌재를 부를만한 부분이다) 결국 미디어 최적화까지 이루어지고 난 이후에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 같다.

현 시점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들의 기능들은 대동소이해 지면서도 자신들이 강점을 보이는 영역을 부각하면서 경쟁하고 있다. dropbox 같은 경우는 가장 선도적인 서비스라는 점, Ucloud는 기기간 싱크 기능 등 기능적으로 가장 앞선 국내 서비스라는 점과 함께 KT 가입자 대상의 프로모션 체험을 통한 가입자 확보, Ndrive는 미려한 디자인과 기능적으로 강한 안정성 그리고 네이버의 개인화 서비스 및 다양한 웹서비스와의 연계, iCloud는 애플 기기간의 유기적인 연동(물론 윈도우도 지원한다)이 가장 큰 장점이다. 수익모델은 대부분 용량 확장이다. 물론 Ndrive iCloud 같은 경우는 굳이 해당 서비스 자체가 수익을 내지 않아도 자사의 서비스, 기기에 lock-in 목적으로 기능해도 충분하지만 말이다. 그런데 현 시점에서 보면 이런 클라우드 서비스들이 향후 유망할 것은 누구나가 예측 하고 있지만 생각보다 활발한 서비스 성장을 이루고 있지는 못한 것 같다.(물론 B2B 영역이 핵심일 수 있겠지만) 헤비유저 대상으로는 꼭 한가지씩 비어있다. dropbox, Ucloud, Ndrive는 용량 제약이 존재하고 고용량 동영상 파일 같은 경우는 제약된다. (불법 파일 공유 이슈, 모바일 지원 부담이 가장 큰 이유겠지만) 용량을 늘리자니 운영비용 부담과 수익모델을 해치게 된다. iCloud는 용량도 문제고 맥을 사용하지 않으면 모바일기기의 백업수단으로만 의미가 있다. 모두 완벽한 클라우드 환경 구축에 제약사항이 존재하는 것이다.

반면 일반 유저 입장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이용가치를 잘 느끼고 있지 못한 것 같다. 더구나 클라우드 서비스 자체의 개념도 간단하지만 이해를 위해 노력할 의지는 없어 보인다. 사진은 기존처럼 케이블 연결해서 빼고 그마저도 귀찮아 휴대폰으로 찍은 사진은 그 기기 안에서만 소비하는 휘발성 컨텐츠로 인식하며, 문서나 파일은 USB나 메일 첨부를 훨씬 편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런 측면에서 애플의 iCloud 접근은 쉬운 것부터 단계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일단 아이폰으로 찍은 사진이나 동영상부터 기기간 싱크해 주는 것부터 학습시키고 이후 이 부분을 넘게 되면 확장하는 방향인 것 같다. 확실하지 않으면 너무 앞서가지 않는 애플의 전형적인 모습 같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유저 대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헤비유저, 일반 유저 모두 큰 과제가 존재하는 것 같다. 헤비유저에게는 자체서버의 용량을 할당해 주는 것은 부담이고 수익모델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클 것 같다. 포고플러그처럼 기존의 유저가 보유한 저장매체나 PC 자체의 하드를 저장매체로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나쁘지 않은 방향이라 생각된다. 안정적인 속도나 여러 기기간 지원만 잘 된다면 일정 금액도 낼 의향이 있을 것이다.

일반 유저 입장에서는 무엇보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써야 할 당위성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이 부분은 애플이나 네이버가 그나마 잘 하고 있다 보인다. 유저의 실제 생활에 밀착한 사용성을 부각해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 그렇다. 같은 접근이지만 재미있는 것은 애플은 기기 기반에서 네이버는 서비스 기반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부분에서의 향후 차이점을 보는 것도 재미있는 지점이라 생각한다. 

작년부터 미래의 유망사업을 꼽으면 항상 선정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정말 많은 사업자들이 다들 의욕적으로 뛰어들고 있지만 확실한 리더는 보이지 않는다. 어쩌면 B2B가 훨씬 심플하고 유망할는지 모르겠다.



1. 간략하게 포고플러그에 대한 글을 쓰려고 하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한번 정리해 보았다. 역시 서비스를 써보면 꽤 많은 것들이 보이는 법이다.

2. 웹상에서 포고플러그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체험리뷰단의 것이다. 그렇기에 포고플러그의 강점만 언급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실제 사용하면서 느낀 점이나 문제점이 잘 정리된 정보는 별로 없다. 해당 부분은 포고플러그의 공식 페이스북이나 블로그, 커뮤니티를 참고하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된다.

Posted by honeybadger : 댓글 0

댓글을 달아 주세요